Windows Terminal , Ubuntu 설치 및 환경설정
Windows Terminal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Window 10용 명령 프롬프트입니다.
우리가 리눅스를 통해서 nodejs를 실행하기 위해선 Windows Terminal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Windows Terminal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 키보드에서 window키를 누르고 microsoft Store를 엽니다.
- 검색창에다가 windows Terminal을 입력후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 windows Terminal을 실행했을 때 이런 화면이 뜨면 성공적으로 된겁니다.
WSL 이란?
WSL은 windows system for Linux의 약자로 간단히 말해서 Windows에서 Linux를 명령어 및 작업을 도와주는 친절한 툴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제품입니다.
WSL을 설치하기전에 우선 우리가 먼저 컴퓨터에서 설정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 제어판에 들어가서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sw 기능 켜기/끄기로 들어가게되면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이라는 폴더 혹은 windows Subsystem for Linux 라는 항목이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체크해야 사용이 가능하고 추가로 Hyper-V가 있다면 이것도 체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 버전도 WSL에 영향을 미칩니다 자신의 window 버전이 20H1 이상은 되어야 정상적으로 설치된다는 점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내 컴퓨터의 window 버전을 확인하고 싶다면 window키 + s 를 누른 뒤 PC정보를 검색하여 실행하면 자신의 window 버전을 알 수 있습니다.
*추가로 내 컴퓨터가 가상화 사용이 가능해야 설치가 가능합니다!*
ctrl + alt + del키를 누르고 나서 성능탭에 가상화 부분에 사용으로 되어있는지 확인을 해야합니다. 혹시라도 사용 안함으로 되어있으면 BIOS화면에서 사용으로 바꿔줘야 합니다. 이에 대한 설정 과정에 대해 링크를 첨부할테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가상화 사용으로 바꾸는 법
WSL 설치하기
자 이제 WSL을 설치하기전 컴퓨터 셋팅은 다 마무리 되었습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WSL을 설치하는 과정을 가져보겠습니다. 먼저 우리가 사전에 설치했던 Windows Termina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windows Terminal이 실행되면 거기다가
아래에 있는 것을 복사해서 내용 그대로 window terminal에 실행합니다. (DSIM 배포 이미지 서비스 및 관리)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위에 것이 설치가 마무리되면 바로 아래것도 복사 붙여넣기로 실행시켜준다.
# VirtualMachine Platform 기능 활성화를 위해 씀.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여기까지 마무리가 되면 이제부터 Ubuntu를 설치하는 과정을 가져보겠습니다.
Windows Terminal에
wsl --install -d Ubuntu 라고 적으면 자동으로 터미널에서 다운로드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다운로드가 100%까지되면 새로운 창이 생기면서 Installing. this may take a few minutes..라는 문구가 뜰 것입니다.
여기서 창을 끄지 않고 기다려야 합니다! 창을 끄지않고 기다리다보면 새로운 문구가 뜨는걸 확인할 수 있을 텐데 이 문구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password를 입력하라는 문구입니다. 여기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싶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작성하면 됩니다.
(# 비밀번호로를 작성할 때 자신이 작성한 비밀번호가 터미널에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상적인 모습이니 보이지 않더라도 그래도 적어서 엔터키를 눌러줍니다.)
여기까지 마무리되면 새로 떴던 창은 끄고 windows Terminal에 다시 돌아옵니다. 터미널에다가 wsl를 치고 엔터를 치면
여기까지 WSL 설치가이드였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WSL보다 버전업인 WSL2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제부터 WSL2로 버전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을 가져볼 것입니다.
WSL2 버전 업그레이드 하기
기존에 설정되어있던 windows terminal에 있는 WSL을 'exlt'를 눌러서 wsl를 로그아웃합니다.
WSL Linux 커널 업데이트 링크를 들어가서 다운을 받아보도록 합시다.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설치가 마무리되면 window terminal을 다시 열어서
wsl --set-version Ubuntu 2 을 복사해서 붙여넣기를 한다.
버전 다운로드가 다 되면 터미널에 wsl -l -v를 쳐서 버전확인을 해보면 자신의 버전이 지금 몇인지 알 수 있다.
혹시라도 버전 업그레이드를 하다가 계속된 오류가 발생한다면 우분투를 다시 지우고 새로 깔아보도록 하자.
우분투를 지우는 법은 wsl --unregister Ubuntu 을 작성하면 우분투를 지울 수 있다.
wsl 가상화 오류가 발생할 때 아래에 있는 사이트 추천
https://devsub.tistory.com/10?category=1017735#--%--%EC%B-%-C%EA%B-%BC%--Spacedesk%EB%A-%BC%--%EC%--%A-%EC%B-%--%ED%--%-C%--%EA%B-%BD%EC%-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