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5) 썸네일형 리스트형 callback의 대한 정리, 간단 예시 (setTimeout, promise, await) 콜백함수는 정말 많이 쓰는 기능이다. 많이 쓰는 기능인만큼 콜백함수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정확히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callback함수는 정말 많이 쓰이지만 문법을 사용하기에 너무 복잡한 기능이다. 그래서 ES6, ES7이 나오면서 좀 더 깔끔하게 콜백을 쓰라고 만든 것이 바로 Promise , async / await 문법이다. 콜백함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javascript의 작동원리에 대해서도 이해해야한다. 변수를 저장하면 저장한 값이 메모리에 저장된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저장된 변수를 우리가 사용하고자 할 때 메모리에서 콜스택으로 옮겨진다. 메모리와 콜스택을 포함하고 있는 영역이 바로 자바스크립트 영역이다. 자바스크립 영역말고도 새로운 영역들이 있는데 그것은 백그라운드(node영역일때만.. nodejs의 여러 기능(module, require) 오늘 우리가 알아볼 것은 nodejs에만 이는 모듈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그중에서도 우리는 require( )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require() 기능을 알아보기전에 우선적으로 알아야할 것들이 있다. 객체리터럴 내가 선언한 값들을 객체에 담고싶을 때 쓰는 것이 객체리터럴이다. let a = 10 let b = 20 let c = 30 위와 같이 a, b, c를 변수로 선언하고 각각에 맞는 값을 넣어줬다. 이상태에서 우리가 객체를 만들려고하면 let obj = { name:a, age:b, height:c, } 이렇게 하나하나 각 속성에 맞게 넣어줘야한다. 객체리터럴은 위에있는 방식을 축약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이다. (ES6부터 가능)▼ let obj = { name:a, age:b, .. nodejs express 간단한 코드를 이용해서 웹 만들기 (1) express를 실행시키면서 간단한 웹 서버를 하나 만들어보도록 하자. 웹서버 (http) http라는 통신방법(통신규격)을 쓴다. 우리는 브라우저에서 다른 웹사이트로 이동을 할 때 url에다가 주소를 넣어서 이동을 합니다. 이때 브라우저에서 해당 웹사이트 서버에게 요청(html,css, javascript) 을 하게되는 것이고 서버는 그 요청을 듣고 응답을 해줌으로써 해당 웹사이트로 이동하는 것이다. -> 이러한 수단을 우리는 http라는 통신방법이다. ----------------------------------------------------- 우리가 할 것 간단한 웹서버를 만들 때 요청들어온 내용(TEXT)을 읽어서 요청을 한 사람에게 내용(TEXT)을 보내는 행위를 하는 코드를 작성할 것이다. .. nodejs 기초 다운로드(nvm, express...)/환경설정 nodeJs : 크롬 V8 엔진으로 빌드한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다. 런타임 : 컴퓨터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실행시켜주는 것. 우리는 리눅스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봤다. 여기서 우리는 node라는 명령어를 추가해서 nodejs를 실행시켜줄 것이다. : node[파일명] -> 리눅스가 이것을 실행시켜줄 것이다 . [ 런타임 ] 그러면 이제 nodejs를 설치해보는 과정을 가져보도록 하자. nodejs를 설치하기 전 업데이트를 먼저하고 설치하도록 하자 -> sudo apt update 이것을 적으면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진행이 된다.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nodejs를 설치해보자. -> sudo apt install nodejs 이것마저 설치가 완료되면 이제 node가 작성될 것이다! (node를 치면 실행이 된다).. 리눅스에 대한 기초 ( 1 ) 1. 기본구조 터미널에서 WSL을 실행하면 이런 문구가 나타날 것입니다. 뒤에 있는 파란색 문구가 우리는 디렉토리라고 말합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우리는 터미널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터미널 명령어# cd : 디렉토리 이동, 폴더 이동 : 사용법은 cd를 치고 스페이스로 띄운 다음 원하는 것을 치면 된다. ex) ' ~ ' , ' / ' 등등 cd만 치고 엔터를 누르면 ~$ 이러한 곳으로 이동되는 것을 알 수 있다. ls : 내 폴더안에 어떠한 파일들이 존재하는가에 대해 알고자할 때 쓰는 명령어이다. ls -al : 내 폴더안에 어떠한 파일들의 옵션명까지 확인할 수 있다. pwd : 현재 위치가 나온다 -> 내 현재 디렉토리가 어디에 있는지 알려주는 명령어이다. 홈 디렉토리 : cd, cd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