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script 3일차 - let, const let 오늘 = "월요일" 오늘 -= "화요일" : 위 아래의 차이점은 위에서 먼저 let을 통해서 "월요일"이라는 값을 선언했지만 바로 밑에서 저런 식으로 값을 적으면 이동훈이란 변수는 "화요일" 값으로 적용된다. -> console.log(이동훈) : 화요일 * 내일 = "수요일" : 이거같은 경우는 let으로 먼저 변수를 선언함으로써 공간을 만들어야 하지만 그렇지 않았기에 실행이 안된다. * let a = "목요일" let a = " 금요일" : 변수를 선언할 때 같은 변수명을 선언할 수 없다. let, const 말고도 var도 존재한다. var: 오래전에 자바스크립에서 쓰던 변수선언방식이지만 Es6버전이 나오면서 주로 let, const를 쓰게되면서 더이상 var은 잘 안.. Javascript의 이해 2 Javascript를 시작하기 위해선 부분에 저런식으로 넣으면 된다. 변수 (variable) : 변하는 수, 변하는 값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기위해선 예약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프로그래밍을 작성할 때 내 마음대로 작성해도 되는 부분과 정해진 대로 써야되는 부분이 있다. 처음 우리는 예약어인 let, const인 변수를 선언하는 예약어를 배울 것이다. ex) let ingoo; -> let은 예약어이고 뒤에있는 것이 변수이다 (변수의 시작을 숫자로 할 수 없다.) ' = ' : 대입연산자 -> 수학에서 1=1은 1과 1은 같다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밍에서의 1=1은 1이라는 곳에 1을 집어넣겠다. 라는 의미이다. let ingoo; ingoo=427; -> 예약어를 통해 ingoo 변수를 생성해.. Javascript의 이해 1일 컴퓨터는 2진수를 사용하고 있다. 메모리, 하드디스크, CPU 1) CPU : 사람의 뇌의 역할을 함으로써 컴퓨터의 모든 처리능력을 가지고 있다. 2) 메모리 : 벼락치기하는걸 생각하자. 컴퓨터를 킨 순간부터 끌 때까지 기억하는 공간 3) 하드디스크 : 메모리와 달리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공간 2진수와 16진수 컴퓨터는 하나의 숫자를 bit라고 표현한다. 이것을 우리는 1비트라고 한다. 컴퓨터는 숫자를 무한정으로 저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정해진 byte만큼 저장할 수 있다 1비트는 데이터를 2가지로 표현할 수 있다 (0, 1) 2비트는 데이터를 4가지로 표현 3비트는 8가지 4비트는 16가지 예를들어 3bit : 비트가 3개 있다는 뜻! bit는 자릿수라고 생각하자! ex)000,001,010,.. 이전 1 2 다음